교육/중학교 과학

[중학교실험] 밀도탑 실험, 중등 방과후 실험수업

케미또이 2021. 10. 28. 16:07
반응형

갑자기 교육부에서 방과후 예산이 학교로 쏟아지는 바람에 방과후 업무에 대학원 중간고사에 학교 수업까지 바쁜 나날을 보내다보니 포스팅이 정말 오랜만입니다.

오늘은 얼마전 학생들 데리고 방과후 수업시간에 한 실험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!!

수업의 주제는 "밀도" 에요. 중학생들은 아직까지 질량과 부피의 개념은 잘 이해해도, 밀도 개념을 어려워하더라구요.

1. 밀도의 정의와 단위 학습

2. 액체의 밀도 측정 방법 - 실험적으로 측정하는 방법 학습 ; 설탕물의 밀도 계산하기

3. 고체의 밀도 측정 방법 - 실험적으로 측정하는 방법 학습 ; 모양이 불규칙한 고체의 밀도 계산하기

4. 밀도탑 실험

으로 진행하였습니다. 1인 실험으로 진행했으며 밀도가 다른 설탕물 3종류는 2명씩 나눠쓰도록 했습니다.

[밀도탑 실험] 

[준비물] 비커 3, 스포이드, 눈금실린더, 설탕, 약숟가락, 색소(아크릴물감), 바이알병

[실험 방법]

비커 3개에 눈금실린더를 이용해 각각 물을 50mL씩 넣고 3가지 색의 아크릴 물감을 각각 넣어 섞는다.

(일반 색소를 사용하는 것보다 아크릴 물감이 색이 더 예쁘게 나오더라구요. 조별로 원하는 색상을 골라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.)

각 비커당 설탕을 다르게 넣고, 각각 비커에 있는 설탕물의 밀도가 어떻게 되는지 측정한다.

- 측정하는 방법은? (스스로 밀도 측정 방법을 설계할 수 있도록 시간을 제공합니다)

각 조마다 실험을 설계해서 실험 중인 모습입니다
눈금실린더를 올린 상태에서 영점 조절하여 질량과 부피를 동시에 측정하고 있는 모습입니다

(밀도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구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. 보통 1g/mL인데 소수점에서 차이가 나더라구요)

     
질량(g)      
부피(mL)      
밀도(g/mL)      

스포이드를 이용하여 유리병에 각각의 설탕물을 넣는다. 이때 설탕물을 넣을 때는 스포이드를 이용해 벽면에 흘려서 넣어주면 섞이지 않게 넣을 수 있다.

만약 밀도 탑이 잘 안만들어졌을 때는 설탕의 양을 더 추가해서 용액을 제조한 뒤에 다시 만들어 본다

실험 결과 입니다.

실험 조마다 다른 아크릴 물감을 사용해서 아주 예쁘게 색이 나왔어요. 밀도에 따라 분리도 잘 되었습니다

반응형